DB형, DC형, IRP? 퇴직연금은 결국 '선택의 문제' 입니다
“퇴직금 받는 건 다 똑같은 거 아냐?”
사실은 전혀 아닙니다.
2025년 현재, 퇴직연금은 회사 중심의 DB형, 개인 책임형 DC형, 그리고 자영업자도 가입할 수 있는 IRP까지,
형식은 같아 보여도 노후의 총액이 완전히 달라지는 구조입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♠ 퇴직연금, 선택지보다 전략을 보라
★DB형은 ‘안정형 연금’
● 운용은 회사가, 금액도 확정
● 퇴사할 때 받을 돈은 예측 가능
● 단점은? 내가 잘 해도, 못 해도 결과는 고정
→ 나는 투자에 관심 없고, 안정이 좋다” → DB형 유리
★ DC형은 ‘내가 설계하는 퇴직금’
● 회사는 매년 일정 금액만 넣고 끝
● 그 후의 운용은 전적으로 나의 선택
● 예금처럼 굴릴 수도 있고, ETF로 공격 투자도 가능
→ “내가 직접 운용해 더 많이 만들고 싶다” → DC형 고려
★ IRP는 ‘자영업자의 은퇴 계좌’
● 직장 없어도, 개인이 가입 가능
● 퇴직금 + 개인 납입금으로 운용 가능
●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
→ “프리랜서나 사업자고, 세금 혜택도 챙기고 싶다” → IRP 필수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♠ 퇴직연금, 이렇게 다른 3가지
구분 DB형 DC형 IRP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운용 주체 회사 근로자 개인
수익 책임 회사 본인 본인
투자 가능 제한적 가능 가능
중도 해지 제한 제한 만 55세 전 인출 제한
세액공제 없음 없음 최대700만원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♠ “퇴직금은 운명 아냐, 선택이다”
많은 직장인은 퇴직연금에 관심이 없습니다.
그저 퇴직할 때 돈 나오는 구조로만 인식하죠.
하지만 요즘은 퇴직금이 아닌, **“퇴직을 준비하는 내 자산 포트폴리오”**로 퇴직연금을 바라봅니다.
● 20대 후반~30대: DC형으로 전환 후 소액 ETF 투자로 연금 불리기
● 프리랜서/1인 사업자: IRP 계좌로 세금 줄이면서 노후자금 쌓기
● 40대 이상: DB형 안정화 유지 + IRP 추가 납입으로 세액공제 누리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♠ 결론: 퇴직연금은 ‘내 연봉의 또 다른 이름’
퇴직연금은 단순한 제도가 아닙니다.
내가 앞으로 받을 또 하나의 급여이자,
세금 줄이는 합법적 통로이기도 합니다.
지금 어떤 유형에 속해있든, 그상태 그대로 두지 말고, '어떻게 활용할지'를 고민하세요.
노후 준비는 빠를수록 유리하고, 전략일수록 강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