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차수당 계산하는 방법,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연차수당 계산법! 사용하지 않은 연차가 있다면 근로자는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연차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봅시다.
■ 연차수당이란?
근로자가 1년간 발생한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못했을 경우,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지급받는 금전적 보상입니다.
■ 계산 공식
연차수당 = 1일 통상임금 × 미사용 연차일수
여기서 '통상임금'은 시급, 기본급, 고정수당 등을 포함한 1일 임금입니다. 식대, 교통비 등은 보통 제외됩니다.
■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김직원은 월 기본급 200만 원, 주 5일 근무, 하루 8시간 근무합니다.
연차는 총 15일 발생했지만, 5일만 사용하고 10일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.
① 하루 임금 계산:
200만 원 ÷ (주 5일 × 4.345주) = 약 92,000원 (1일 임금)
② 연차수당 계산:
92,000원 × 미사용 10일 = 920,000원
김직원은 약 92만 원의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는 거예요!
◆ 꼭 알아둘점
연차수당은 1년 단위로 정산되며, 소멸 전 지급되어야 합니다.
1년간 결근 없이 일했다면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.
연차는 입사 1년 미만, 1년 이상 여부에 따라 부여 방식이 다릅니다.